원사 (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사(Sergeant Major)는 군대에서 사용되는 계급 또는 보직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녀왔다. 16세기 스페인 군대에서는 장군 계급을, 17세기에는 연대 지휘관 다음 서열의 야전 장교를 지칭했다. 18세기에는 보병 대대나 기병 연대의 선임 부사관에게 사용되었으며, 미국 독립 전쟁을 기점으로 미국과 영국의 용어 사용이 분리되었다. 현재는 계급과 직책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으로, 각 나라의 군대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원사 (군사) | |
---|---|
계급 정보 | |
군종 | 육군 |
상위 계급 | 준위 |
하위 계급 | 병장 |
NATO 코드 | OR-7 (OR-6 and OR-7 (US Army)) |
대한민국 국군 | |
군종 |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
계급 | 원사 |
NATO 코드 | OR-8 |
일본 자위대 | |
계급 | 조장 |
영문 계급 | Sergeant Major |
미국 | |
군종 | 육군, 해병대 |
계급 | Sergeant Major |
2. 역사
미국 독립 전쟁을 계기로 미국과 영국의 주임원사(Sergeant Major) 직함 역사가 분리되기 시작했다. 1776년, 대륙군은 각 보병 대대(또는 연대) 본부에 병장(sergeant major)을 임명하면서 공식적인 용어 사용을 시작했다. 초기 계급장은 군복 상의 어깨에 꿰맨 빨간 천 조각인 견장 또는 줄무늬였다.[13]
대한민국 국군의 원사는 부사관에 속하며, 장교로 진급하기 전 최상위 계급이다. 2016년 2월 23일 군인복제령 개정으로 부사관 계급장 하단의 무궁화 좌우 잎이 각각 2개에서 3개로 변경되어 장교와 동일한 형태가 되었다.[1]
1776년부터 1851년 사이에 병장 계급장 기장은 여러 차례 변경을 거쳤다. 남북 전쟁과 인디언 전쟁 기간 동안 착용했던 "고전적인" 패턴이 채택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참모 부사관(SNCO) 견장, 갈매기 모양, 또는 둘의 조합을 포함했다. 이 기간 동안 병장, 군수 병장, 기수 병장, 그리고 피페 병장의 여러 SNCO 계급의 계급장은 동일했다.[13]
1821년, SNCO는 각 소매 팔꿈치 위에 노란색 갈매기 모양 하나를 받았다. 1825년에는 갈매기 모양 아래에 거꾸로 된 아크를 추가하여 부관의 것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현대 일등 상병 계급장과 디자인이 매우 유사함). 이는 장교 계급의 것과 다른 색상(금색 또는 은색 대신 노란색)과 재료(레이스 대신 얇은 모직물)였다. 1832년, SNCO는 갈매기 모양이 없는 정교한 견장으로 표시된 계급장으로 돌아갔다.[13]
1847년, 완전히 새로운 계급장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모든 SNCO와 NCO는 계급장으로 갈매기 모양을 갖게 되었다. 이는 "전통적인" 병장 계급장의 3개의 아크 위에 3개의 갈매기 모양 디자인(갈매기 모양은 위로 향하게 착용)의 첫 번째 구현이었다. 군수 병장은 3개의 가로 막대 위에 3개의 갈매기 모양을, 최초로 수석 상사 또는 정돈 상사는 마름모꼴을 덮은 3개의 갈매기 모양을 받았다. 1851년, 육군은 SNCO와 NCO 계급장을 다시 뒤집어 아래를 향하게 했다.[13]
미국 남북 전쟁 기간 동안 연방군과 남부 연합군 모두 주임원사 계급을 사용했다. 당시에는 군수 병장 바로 위인 최고 부사관 계급이었다. 양 군대는 동일한 계급장(3개의 아크 아래로 향하는 3개의 갈매기 모양)을 사용했으며, 포병은 빨간색, 기병은 노란색, 보병은 파란색으로 줄무늬 색상을 변경했다. 일부 남부 연합 민병대 부대는 이러한 색상을 더욱 다양하게 변경하여 다양한 부대에 검은색 줄무늬를 포함한 다른 색상을 사용했다.[13]
1920년, 육군 부사관 급료 등급이 표준화되면서 계급 또는 등급의 칭호가 사라졌다. 그러나 대대 선임 NCO의 직함으로 살아남았고, 1958년 의회가 E-8 및 부사관 계급 E-9 급료 등급을 승인했을 때 계급으로 재도입되었다. 이 새로운 병장 계급은 갈매기 모양과 아크 사이에 5각형 별이 있는 3개의 아크 위에 3개의 갈매기 모양의 새로운 계급장을 보았다.[14]
1968년, 대대 이상 지휘부의 주요 NCO(예: 주임 원사)에 배정된 병장에게 새로운 계급장이 승인되었다. 이 계급장은 별이 작고 별 주위에 화환이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병장 계급장과 동일했다.[14]
육군 주임 원사의 임명은 1966년 7월 4일에 창설되었으며, 1979년에는 아래쪽 갈매기 모양과 위쪽 아크 사이에 두 개의 별이 있는 3개의 아크 위에 3개의 갈매기 모양의 독특한 계급장 등급을 받았다. 1994년 육군 주임 원사의 계급장은 계급장 중앙의 두 별 사이에 미국 문장을 추가하도록 변경되었다. 핀온 계급장은 검은색 에나멜 배경에 광택 처리된 금도금 처리되었다.[15]
미 해병대의 첫 번째 병장은 1801년 1월 1일에 임명된 아치볼드 소머스였다. 이것은 원래 현대의 해병대 주임 원사와 유사한 고독한 직책이었지만, 1899년에는 5명의 병장이 있었다. 이 직함은 1946년에 폐지되었지만 1954년에 계급으로 재도입되었다. 해병대 주임 원사 직책은 미국 해병대 사령관의 선임 부사관 고문으로 1957년에 설립되었다.[16]
3. 대한민국 국군
3. 1. 계급장
2016년 2월 23일에 군인복제령이 개정되어 부사관 계급장 하단의 무궁화 좌우 잎이 각각 2개에서 3개로 변경되었다. (장교와 동일한 형태로 개정됨)[1] 부사관 계급장은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별로 형태가 다르다.
계급 | 육군(포제 정장) | 육군(포제 견장) | 육군(금속제) | 해군 | 해병대 | 공군 |
---|---|---|---|---|---|---|
원사 (元士) | ![]() | ![]() |
4. 영연방 국가
영연방 국가에서 상사(Sergeant major)는 일반적으로 계급이 아닌 보직이다. 이 보직은 보통 육군 또는 해병대 부대의 선임 준위가 맡으며, 해당 부대의 부사관 관련 문제에 대해 지휘관에게 조언할 책임을 진다.[1][2][3]
상사는 "상사(Sergeant major)", "경(Sir)", "여사(Ma'am)" 등으로 불린다.[1][2][3]
영국군에서 복수형은 ''sergeant majors''이며, ''sergeants major''가 아니다.[1][2][3]
4. 1.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최고 선임 원사는 1991년에 도입된 원사 1 계급보다 상위 계급인 독특한 계급인 원사 계급을 보유하며, 육군 참모총장(RSM-A) 직책을 맡는다. 육군 참모총장은 육군 참모총장에게 책임을 지지만 육군 내 모든 계급에 대해 응답해야 한다. 육군 참모총장은 육군 참모총장의 개인 참모진의 일원이다. 육군 참모총장 직책은 1983년 1월부터 존재해 왔으며 1991년까지 원사 1이 맡았다. 육군 참모총장은 오스트레일리아 해군의 해군 원사(WO-N)와 오스트레일리아 공군의 공군 원사(WOFF-AF)에 해당한다.[4]육군 참모총장의 주요 역할은 육군 군인들의 요청 및 비요청 의견, 우려 사항 및 의견을 육군 참모총장 및 기타 관련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며, 동시에 육군 참모총장의 메시지를 하위 계급 및 전체 계급에 전달하는 것이다.[4]
4. 2. 캐나다
캐나다군에서 하사관 임명은 소부대, 부대 및 일부 편성에 있는 선임 부사관에게 주어진다. 연대 상사(RSM)는 기갑, 포병, 공병, 통신 연대, 보병 및 지원대대와 같은 부대의 선임 상사이다. 이 직책은 일반적으로 선임 원사(Chief Warrant Officer)가 맡는다.소부대(예: 전대, 중대 및 포대) 내에서 소부대 상사는 일반적으로 상사(Master Warrant Officer) 계급을 가지며 전대, 중대 또는 포대 상사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장교들에게 "상사"(SSM, CSM, BSM 등), "미스터" 또는 "미스"로, 부하들에게는 "경" 또는 "여사"로 불리며 연대 상사와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몇몇 특이한 경우, 로열 캐나다 해군(Royal Canadian Navy)의 1등 상사(Chief Petty Officer 1st Class) 또는 2등 상사(Chief Petty Officer 2nd Class)가 상사의 직책을 맡을 수 있으며, 특히 지원대대(service battalion)와 같이 많은 "혼성 병과(purple trades)"를 가진 부대에서 그렇다. 호칭은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1등 및 2등 상사는 "경" 또는 "여사"로 불리지 않고 "상사"로 불린다. 상사는 부대, 단위 또는 소부대 지휘 계통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으며, 이들의 역할은 조직의 부사관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지휘관에게 조언하는 것이다.
4. 3. 싱가포르
싱가포르군에서는 각 군 부대에 중대에서 사단/편성에 이르기까지 주임원사 보직이 존재한다. 주임원사의 주요 임무는 사병들의 규율과 복지에 있어 지휘관을 보좌하는 것이다. 연대 주임원사와 중대 주임원사 두 종류가 있으며, 연대 주임원사는 대대, 여단, 사단 또는 군 복무 레벨을 담당한다.4. 4. 스리랑카
스리랑카 육군과 스리랑카 경찰에는 주임 원사(Sergeant Major) 계급 또는 직책이 존재한다. 육군에서는 준위 2급을 주임 원사라고 하며, 준위 1급은 연대 주임 원사이다. 경찰에서는 가장 선임인 비간부급 계급이 경찰 주임 원사이다.4. 5.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주임원사는 계급이 아니라 상사 1계급 또는 상사 2계급이 맡는 보직이다. 2008년 6월 1일까지, 상사 1계급이 맡았던 가장 높은 보직(레벨 1)은 남아프리카 국방군 주임원사였다.5. 영국
영국에서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680년경으로, 보병 연대 대대장의 중대에서 수석 상사에게 적용되었으며,[9] 1797년에 대대 또는 연대 참모부에 주임 상사가 추가되면서 공식화되었다. 계급장이 도입되었을 때, 원사는 4개의 계급장을 착용했으며, 나중에는 왕관 아래에 착용했다.
1813년, 기병 연대는 분대 상사를 도입하여 군수관을 분대의 수석 부사관으로 대체했다. 이로 인해 기존 직책은 연대 주임 상사로 명시적으로 재지정되었다. 이후, 분대가 주요 연대 이하 부대로 부상하면서 이에 상응하여 분대 주임 상사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보병은 제1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 분대당 한 명의 주임 상사를 유지했으며, 중대 주임 상사의 도입으로 인해 RSM(Regimental Sergeant Major, 연대 주임 상사)이라는 명칭을 채택해야 했다.
1881년, 기병 RSM과 보병 주임 상사는 영장으로 확인된 여러 수석 부사관 직책 중 하나가 되어 준위가 되었다. 이는 1915년에 확장 및 합리화되어, 준위 1계급(WOI)과 준위 2계급(WOII)이라는 새로운 계급이 도입되었다. RSM은 전자의 직책이 되었고, CSM과 SSM은 후자의 직책이 되었다.
로열 해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준위 1계급에 해당하는 단일 계급의 주임 상사를 계속 사용하다가, 이후 육군 시스템을 채택했다.
6. 프랑스
프랑스에서 ''sergent-major''(''major''와는 구분됨) 계급은 1776년에 창설되었다. 이 계급은 보병 중대에서 최고위 부사관(sous-officier프랑스어)이었다. 기병대의 이에 해당하는 계급은 ''maréchal-des-logis-chef''였다. 상사(sergent-major)는 중대 행정을 담당했다. 앙시앵 레짐 하에서, 연대 참모 본부의 상응하는 계급은 1776년에 창설된 ''adjudant sous-officiers''이었으며, 연대의 최고위 부사관이었다.[1]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개혁 이후, 주로 연령 제한으로 인해 장교단 진입이 어려워졌다. 각 중대에 ''사관 후보생''(준위)이 추가되면서, 상사(sergent-major)는 순수한 행정 기능으로 제한되었다.[1]
1928년에 이 계급은 ''sergent-chef''로 대체되었다. 1942년부터 1962년까지 중대의 회계 책임을 담당하는 부사관으로서 ''sergent-chef''와 ''사관 후보생'' 사이에 다시 부활하기도 했다. 1964년 이후 상사(sergent-major)로의 진급은 없었고, 1971년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이 계급을 마지막으로 보유했던 부사관은 1985년에 퇴역했다.[1]
상사(sergent-major) 계급을 역임한 주목할 만한 군인으로는 프랑스 원수 프랑수아 아킬 바젠, 에두아르 위즈번, 앙리 토넬이 있었다.[1]
7. 미국
미국 육군에서 상사(SGM)는 군 계급이자 인사 담당 직위 또는 직책을 모두 지칭한다.[10][11] 이는 최선임 부사관 계급으로, 선임 상사 및 특무 상사 바로 위에 위치하며, 계급은 E-9, NATO 계급은 OR-9이다.
주임 원사(CSM)는 지휘관의 선임 부사관 고문인 지도력 직위 변형이다. 이 직위에는 부대의 기(깃발)를 관리하는 것과 같은 특정 의전 기능이 수반된다. 또한, 주임 원사는 지휘부의 부사관을 감시하고 옹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직책은 주로 대대 규모 이상의 부대에 존재한다.
지명 직위(장성 또는 고위 공무원 급의 민간인이 평가하는 직위)에서 복무하는 SGM 및 CSM은 지명된 선임 부사관 리더의 휘장을 착용한다. 대령 이하의 지휘관을 보좌하는 다른 모든 상사들은 지정된 병과 휘장을 착용한다.[10][11]
SGM과 CSM 모두 "상사"로 불리고, 그렇게 호칭된다. 육군 원사는 별도의 고유한 직책이지만, 여전히 "상사"로 불린다.[12]
미국 해병대에서 주임원사는 9번째이자 최고 계급의 부사관으로, 선임 상사 바로 위이며, 봉급 등급은 군수 상사와 같지만, 두 계급은 서로 다른 책임을 가진다. 주임원사는 계급인 동시에, 이 직책의 해병대원의 공식 보직은 지휘 선임 부사관이다. 해병대 주임원사들은 대대, 비행대대 또는 그 이상의 상위 부대의 해병대 선임 부사관으로서, 부대 지휘관의 선임 부사관 자문관 역할을 수행하며, 부사관 해병대원들의 기강 및 사기 문제들을 처리한다. 해병대 주임원사는 별개의 고유한 직책이다.
8. 일본
대일본 제국 육군에서 조장은 군조, 오장과 함께 하사관 중 하나였다. 동기 병은 오장에서 군조로 동시에 진급했지만, 군조에서 조장으로 진급하는 데는 개인차가 있었다. 관리 등급은 판임관 2등에 해당했다.
일본군의 계급도 참조.
8. 1. 구 일본 육군
대일본 제국 육군에서 조장은 군조, 오장과 함께 하사관 중 하나였다. 조장은 판임관 2등에 해당했다.[40][41]1873년 권(權) 조장(임시 조장)을 폐지하고 조장으로 일원화했다.[82] 1940년 병과의 구분을 없애면서 헌병 조장을 제외한 육군 보(기·포·공·항공·수송)병 조장은 육군 조장으로 통합되었다.[147]
8. 2. 구 일본 해군
구 일본 해군에서는 일등병조(1942년부터 상등병조)가 육군 조장에 상당했다.[154] [46] [155] [156]9. 그 외 국가
- Sargento-maiorpt (앙골라 육군)[17]
- Première sergent major프랑스어 (부룬디 육군)[18]
- Sargento-morpt (카보베르데 국가 경비대)[19]
- Sergent-major프랑스어 (중앙아프리카 육군)
- Sergent major프랑스어 (차드 육군)
- Sargento mayores (콜롬비아 육군)[20]
- Sergent major프랑스어 (콩고 민주 공화국 육군)
- Sargento mayores (도미니카 육군)[21]
- Sargento mayores (엘살바도르 육군)[22]
- Sargento mayores (과테말라 육군)[23]
- Sargento mayores (온두라스 육군)[24]
- Sersan mayorid (인도네시아 육군)[25]
- Sergente Maggioreit (이탈리아 육군)[26]
- Seržantas majoraslt (리투아니아 육군)[27]
- Sergent-major프랑스어 (마다가스카르 육군)[28]
- ސާރޖަންޓް މޭޖަރ|Saarjant meyjar디베히어 (몰디브 국방군)[29]
- Sergent-majorro (몰도바 육군)[30]
- Sergent-major프랑스어 (모로코 왕립 육군)[31]
- Sergeant-majoornl (네덜란드 왕립 육군)[32]
- Sersjantmajorno (노르웨이 육군)[33]
- Sargento-morpt (포르투갈 육군)[34]
- Sergent-majorro (루마니아 육군)[35]
- Sergeant major (르완다 육군)[36]
- Sargento-morpt (상투메 프린시페 육군)
- Sergeant-majoornl (수리남 육군)[37]
- Sergeant major (미국 육군)[38]
참조
[1]
간행물
London Gazette
1981-04-16
[2]
간행물
London Gazette
1881-12-02
[3]
뉴스
The earliest usage of "sergeant majors" in ''[[The Times]]'' is in 1822. The last of the (very occasional) usages of "sergeants major", except when referring to American NCOs, is in 1938.
[4]
웹사이트
Australian Army Other Ranks
https://www.army.gov[...]
2019-06-20
[5]
논문
'South African Military Ranks and Insignia'
1990
[6]
웹사이트
home
http://www.army.mil.[...]
2008-11-12
[7]
웹사이트
SAAF Rank Insignia
http://www.af.mil.za[...]
2008-11-12
[8]
웹사이트
CGS outlines new British Army senior posts amid culling of generals - IHS Jane's 360
http://www.janes.com[...]
2022-01-15
[9]
웹사이트
Ordnance Insignia of the British Army: Non-Commissioned Ranks & Appointments
http://homepage.ntlw[...]
[10]
웹사이트
NOMINATIVE SENIOR ENLISTED LEADER COLLAR INSIGNIA
https://www.armyg1.a[...]
[11]
서적
Army Regulation 670–1 Wear and Appearance of Army Uniforms and Insignia
https://armypubs.arm[...]
2021-01-26
[12]
서적
Army Regulation 600–20
https://armypubs.ar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2020-07-24
[13]
서적
United States Army Grade Insignia Since 1776
2011
[14]
웹사이트
10 U.S.C. § 517
https://www.law.corn[...]
law.cornell.edu
2013-07-05
[15]
웹사이트
Enlisted Rank Insignia
http://www.tioh.hqda[...]
2015-07-02
[16]
웹사이트
Sergeants Major of the Marine Corps
http://www.mclm.com/[...]
Marine Corps Legacy Museum
2006-11-12
[17]
웹사이트
Postos do Exército
https://faa.ao/exe/p[...]
Angolan Army
2021-06-27
[18]
웹사이트
Loi organique N°1/ 04 du 20 février 2017 portant Missions, Organisation, Composition, Instruction, Conditions de service et Fonctionnement de la Force de Défense Nationale du Burundi
http://fdnb.bi/sites[...]
Government of Burundi
2021-06-27
[19]
웹사이트
Patente
https://www.fa.gov.c[...]
Cape Verdean Armed Forces
2021-05-26
[20]
서적
RGE 4-20.1: Reglamento de Uniformes, Insignias y Distinciones
https://drive.google[...]
National Army of Colombia
2021-05-28
[21]
서적
Ejército de República Dominicana: Reglamento de uniforme
https://www.ejercito[...]
Dominican Army
2021-06-18
[22]
웹사이트
Grados Militares
https://www.fuerzaar[...]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f El Salvador.
2021-05-29
[23]
웹사이트
Grados Militares
https://www.mindef.m[...]
Ministry of Defence (Guatemala)
2021-05-29
[24]
서적
Honduras: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1-10-21
[25]
웹사이트
Pangkat Harian
https://www.tni.mil.[...]
Indonesian National Armed Forces
2021-06-04
[26]
웹사이트
i gradi dell'Esercito Italiano - distintivi di incarico e funzionali
http://www.esercito.[...]
Italian Army
2021-05-30
[27]
웹사이트
Karių laipsnių ženklai
http://kariuomene.ka[...]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Lithuania)
2021-05-26
[28]
웹사이트
LOI N° 96-029 portant Statut Général des Militaires
http://www.defense.g[...]
Ministry of Defence (Madagascar)
1996-11-15
[29]
웹사이트
ރޭންކް ސްޓްރަކްޗަރ
https://mndf.gov.mv/[...]
Maldives National Defence Force
2021-06-02
[30]
웹사이트
Epoleţi
https://www.army.md/[...]
Ministry of Defense
2021-05-26
[31]
서적
Morocco: a country study
1985
[32]
웹사이트
De rangonderscheidingstekens van de krijgsmacht
https://www.defensie[...]
Ministry of Defence (Netherlands)
2016-12-19
[33]
웹사이트
Militære grader
https://www.forsvare[...]
Norwegian Armed Forces
2021-02-04
[34]
웹사이트
POSTOS E DISTINTIVOS EXÉRCITO
http://antigo.mdn.go[...]
2021-05-30
[35]
웹사이트
Grade militare (Military ranks)
https://www.defense.[...]
Romanian Defence Staff
2021-02-01
[36]
웹사이트
RDF Insignia
https://www.mod.gov.[...]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Rwanda
2021-06-12
[37]
서적
World armies
Royal Military Academy
2022-03-09
[38]
웹사이트
U.S. Army Ranks
https://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2021-05-27
[39]
서적
五国対照兵語字書
参謀本部
1881-02
[40]
웹사이트
ヨミガナ辞書
https://dajokan.ndl.[...]
国立国会図書館
2007-01
[41]
Wikisource
海陸軍大中少佐及尉官及陸軍曹長權曹長ヲ置ク
[4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3]
문서
御沙汰書 9月 官位相当表の件御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4]
웹사이트
7. 法令の種別、法令番号
https://dajokan.ndl.[...]
国立国会図書館
2023-12-02
[45]
문서
弁官往復閏 7月 官位相当表の義々付上申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6]
문서
常備兵員海軍ハ英式陸軍ハ仏式ヲ斟酌シ之ヲ編制ス因テ各藩ノ兵モ陸軍ハ仏式ニ基キ漸次改正編制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7]
문서
各藩ノ常備兵編制法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8]
문서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五巻・官職八・陸軍武官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9]
문서
官員取調帳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0]
문서
薩長土ノ三藩ニ令シテ御親兵ヲ徴シ兵部省ニ管轄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1]
문서
東山西海両道ニ鎮台ヲ置キ兵部省ノ管轄ニ属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2]
문서
職員録・明治四年四月・職員録改(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3]
문서
5月 猪野贇雄任陸軍曹長他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4]
문서
5月25日 猪野贇男曹長申付及石埜謄書記掛権曹長申付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5]
문서
5月25日 山口松之助外7名権曹長申付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6]
문서
職員録・明治四年六月・職員録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7]
Wikiref
JACAR:A15070878800
[58]
Wikiref
JACAR:A15070878800
[59]
문서
親兵ノ徽章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0]
Wikiref
JACAR:A15110505000
[61]
문서
兵部省官等改定・二条
国立公文書館
[62]
문서
豊明節会ニ酒肴ヲ下賜シ諸兵隊夫卒ニ及ブ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3]
문서
陸軍軍曹ヨリ兵卒ニ至ルマテノ等級照会
国立公文書館
[64]
문서
乙3号大日記 陸軍省より回答 天長節酒饌料被下方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5]
문서
新年宴会軍人ニ酒饌被下方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6]
문서
鎮台分営士官心得勤辞令書式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7]
문서
陸軍徽章増補改定
国立公文書館
[68]
문서
陸軍武官俸給表
国立公文書館
[69]
문서
会計局より下士心得勤日給表決定に付一般へ達の儀申出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0]
문서
兵部省陸軍・士官兵卒・給俸諸定則ヲ制定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1]
문서
陸軍給養同備考
国立公文書館
[72]
Wikiref
[73]
Wikiref
[74]
Wikiref
[75]
Wikiref
[7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77]
문서
諸藩陪臣其外軍事ニ採用ノモノ丶月給額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8]
문서
隊長月給額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9]
문서
補助官ヲ創設シ其俸給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0]
문서
兵部省諸隊ノ月給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1]
문서
兵部省仮ニ諸隊ノ月給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2]
Wikiref
[83]
Wikiref
[84]
Wikiref
[85]
문서
曹長軍曹ハ本省伍長ハ各所管長官ニ於テ進退
国立公文書館
[86]
Wikiref
[87]
문서
単行書・明治職官沿革表附録歴年官等表并俸給表・歴年武官表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8]
Wikiref
[89]
문서
陸軍武官俸給表中曹長俸給改定
国立公文書館
[90]
문서
一二等曹長徽章仮定
国立公文書館
[91]
문서
列外書簡掛権曹長当分二等曹長ト心得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2]
문서
二等曹長ヲ以テ下副官ニ充ツル時ハ上級ノ職務代理ト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3]
문서
陸軍歩騎砲工輜重兵編制表・其四
国立公文書館
[9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21
[95]
서적
歩兵内務書
[96]
서적
本朝政体
四屋純三郎
[97]
문서
陸軍武官表・四条
国立公文書館
[98]
문서
各鎮台等ヨリ下士官黜陟届出方
国立公文書館
[99]
문서
屯田憲兵設置ノ条例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00]
문서
准陸軍大佐以下ノ官等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01]
Wikiref
[102]
문서
陸軍武官服制改正・八年十一月二十四日第百七十四号ヲ以テ布告ス布告文並陸軍省伺等ハ同部目ノ第一冊ニ載ス
国立公文書館
[103]
서적
官職一覧
東京書林 星野松蔵
1875-11-27
[104]
문서
物集高材
[105]
문서
八年十二月十七日陸軍給与概則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06]
문서
陸軍各隊ノ下副官ハ准士官ヲ以テ所遇ス
国立公文書館
[107]
Wikiref
[108]
Wikiref
[109]
문서
四等官以下等級改定
国立公文書館
[110]
문서
陸軍職制制定陸軍省職制事務章程及武官官等表改正
国立公文書館
[111]
문서
開拓使ヲ廃シ函館札幌根室三県ヲ置ク
国立公文書館
[112]
문서
旧開拓使準陸軍武官ヲ陸軍省ニ管轄ス
国立公文書館
[113]
Wikiref
[114]
Wikiref
[115]
문서
屯田兵大佐以下ヲ置キ軍楽長ノ官等ヲ改メ且屯田兵条例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16]
문서
屯田兵大佐以下ノ官名新設ニ付従前准陸軍大佐以下各自ニ同等ノ官名ヲ換称セシム
国立公文書館
[117]
문서
御署名原本・明治十九年・勅令第四号・陸軍武官官等表改正
国立公文書館
[118]
문서
判任官官等俸給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19]
문서
御署名原本・明治十九年・勅令第四号・陸軍武官官等表改正
国立公文書館
[120]
문서
陸軍海軍武官ノ官等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21]
문서
陸軍戸山学校条例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22]
문서
判任官官等俸給令中改正追加ス
国立公文書館
[123]
문서
陸軍武官々等表中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24]
문서
陸軍武官々等表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25]
문서
文武判任官等級表の件
防衛省防衛研究所
[126]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四年・勅令第二百四十九号・文武判任官等級表
国立公文書館
[127]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七年・勅令第四十三号・文武判任官等級表改正
国立公文書館
[128]
문서
陸軍各兵曹長ニシテ監視区長タル者ハ監視区長在職中其身分ヲ准士官トス
国立公文書館
[129]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30]
문서
陸軍武官々等表中追加
国立公文書館
[131]
문서
陸軍各兵特務曹長及監視区長服制々定并陸軍将校服制同戸山学校教官補服制及陸軍将校馬具制中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32]
문서
陸軍定員令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33]
문서
陸軍定員令中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34]
문서
憲兵条例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35]
문서
陸軍給与令中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36]
문서
憲兵上等伍長ノ服制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37]
문서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38]
문서
憲兵条例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39]
문서
陸軍武官官等表〇文武判任官等級表中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40]
문서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国立公文書館
[141]
간행물
屯田兵条例、明治二十七年勅令第九十五号・(屯田兵服役志願ノ下士ニ関スル制)・屯田兵移住給与規則及屯田兵給与令ヲ廃止シ○屯田兵下士兵卒タリシ者ノ服役ニ関スル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3489600、公文類聚・第二十八編・明治三十七年・第二巻・官職二・官制二・官制二(大蔵省・陸軍省)(国立公文書館)
[142]
간행물
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01200937200、公文類聚・第二十八編・明治三十七年・第四巻・官職四・官制四・官等俸給及給与(外務省~旅費)(国立公文書館)
[143]
간행물
文武判任官等級令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3760100、公文類聚・第三十四編・明治四十三年・第六巻・官職門五・官等俸給及給与~旅費(国立公文書館)(第3画像目、第5画像目)
[144]
간행물
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3100742700、公文類聚・第四十九編・大正十四年・第十巻・官職八・高等官官等俸給及給与~旅費(国立公文書館)
[145]
간행물
明治三十五年勅令第十一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ヲ改正シ〇昭和六年勅令第二百七十一号陸軍兵ノ兵科部、兵種及等級表ニ関スル件中ヲ改正ス・(官名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4100567300、公文類聚・第六十一編・昭和十二年・第四十巻・官職三十八・官制三十八・官等俸給及給与附旅費(国立公文書館)(第5画像目、第8画像目)
[146]
간행물
高等官官等俸給令中〇文武判任官等級令中ヲ改正ス・(陸軍武官官等表ノ改正ニ伴フモノ)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4100565000、公文類聚・第六十一編・昭和十二年・第四十巻・官職三十八・官制三十八・官等俸給及給与附旅費(国立公文書館)(第4画像目から第5画像目まで)
[147]
간행물
昭和十二年勅令第十二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〇昭和六年勅令第二百七十一号陸軍兵等級表ニ関スル件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02030204100、公文類聚・第六十四編・昭和十五年・第六十二巻・官職六十・官制六十・官等俸給及給与(外務省~旅費)(国立公文書館)
[148]
간행물
昭和十二年勅令第十二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〇昭和六年勅令第二百七十一号陸軍兵等級表ニ関スル件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02030204100、公文類聚・第六十四編・昭和十五年・第六十二巻・官職六十・官制六十・官等俸給及給与(外務省~旅費)(国立公文書館)
[149]
간행물
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七勅令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4101207600、公文類聚・第六十八編・昭和十九年・第三十七巻・官職三十七・官制三十七・官等俸給及給与手当一(国立公文書館)
[150]
간행물
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中ヲ改正ス・(陸軍法務官並ニ建築関係ノ技師ヲ武官トスル為及衛生将校等ノ最高官等ヲ少佐マテ進メル為)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03010029300、公文類聚・第六十六編・昭和十七年・第五十七巻・官職五十三・官制五十三官等俸給及給与附手当二(国立公文書館)
[151]
간행물
御署名原本・昭和二十年・勅令第二九五号・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十勅令中改正ニ関スル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04017740300、御署名原本・昭和二十年・勅令第二九五号・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十勅令中改正ニ関スル件(国立公文書館)
[152]
간행물
陸軍監獄官制ヲ改正シ〇陸軍監獄長、陸軍録事、陸軍監獄看守長、陸軍警査又ハ陸軍監獄看守タリシ者ヨリスル陸軍法務部現役武官ノ補充特例〇昭和十五年勅令第五百八十号陸軍武官官等表ノ件外十勅令中改正等ニ関スル件〇昭和二十年法律第四号陸軍軍法会議法中改正法律ノ一部施行期日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03010224900、公文類聚・第六十九編・昭和二十年・第十四巻・官職八・官制八(陸軍省・第一復員省)(国立公文書館)(第1画像目から第2画像目まで、第14画像目から第23画像目まで)
[153]
간행물
陸軍武官官等表等を廃止する勅令を定め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3110684400、公文類聚・第七十編・昭和二十一年・第三十七巻・官職二十八・俸給・給与二・内閣・外務省・内務省~任免一(国立公文書館)(第1画像目から第5画像目まで)
[154]
간행물
海軍ハ英式ニ依テ興スヘキヲ山尾民部権大丞ニ令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070892000、太政類典・第一編・慶応三年~明治四年・第百十四巻・兵制・雑(国立公文書館)
[155]
간행물
海軍官名諸艦船トモ英国海軍官名録ノ通リ唱ヘシム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2100、件名番号:004、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十巻・兵制九・武官職制九
[156]
Wikiref
JACAR:A03023322900
JACAR-A03023322900(第21画像目から第22画像目まで)
[157]
간행물
戊4号大日記 造船局申出 乾行艦乗組益田利右衛門官等取調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9110025700、公文類纂 明治5年 巻1 本省公文 制度部 職官部(防衛省防衛研究所)
[158]
간행물
海軍退隠令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49100、件名番号:021、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二十七巻・兵制二十六・軍功賞及恤典二(第4画像目)
[159]
Wikiref
JACAR:A15110505000
JACAR-A15110505000(第25画像目から第26画像目まで)
[160]
간행물
明治初年官等表ニ掲ケサル艦長以下ノ服役年計算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111034300、公文類聚・第九編・明治十八年・第七巻・兵制・兵学・軍律・徽章・賞恤賜与・雑載(国立公文書館)
[161]
간행물
軍艦副長ノ称ヲ廃シ一等二等士官ヲ以テ命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070842300、太政類典・第一編・慶応三年~明治四年・第百六巻・兵制・陸海軍官制(国立公文書館)
[162]
간행물
海軍練習ノ為メ請フテ乗艦スル者ノ月給ヲ廃ス但シ賄料ハ旧ニ依ル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070884200、太政類典・第一編・慶応三年~明治四年・第百十三巻・兵制・会計(国立公文書館)
[163]
간행물
兵部省水火夫等月給額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15070884300、太政類典・第一編・慶応三年~明治四年・第百十三巻・兵制・会計(国立公文書館)
[164]
Wikiref
JACAR:A15070878800
JACAR-A15070878800(第8画像目から第11画像目まで、第20画像目から第21画像目まで)
[165]
간행물
下等士官ノ内権曹長以上ノ拝命ハ本省ニ於テ申渡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2100、件名番号:037、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十巻・兵制九・武官職制九
[16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024-11-17
[167]
간행물
海軍武官彼我ノ称呼ヲ定ム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2100、件名番号:003、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十巻・兵制九・武官職制九
[168]
간행물
戊2号大日記 兵部省達 孟春艦乗組北村知太曹長任官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9110115000、公文類纂 明治5年 巻5 本省公文 黜陟部1(防衛省防衛研究所)
[169]
간행물
戊2号大日記 兵部省達 春日艦乗組下士林田利八4名任官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9110126200、公文類纂 明治5年 巻5 本省公文 黜陟部1(防衛省防衛研究所)
[170]
간행물
伊藤祐順外6名達 除服出勤申付等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9110161600、公文類纂 明治5年 巻6 本省公文 黜陟部2(防衛省防衛研究所)(第1画像目)
[171]
간행물
癸4号大日記 春日艦申出 権曹長以下冬服御渡方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9110997500、公文類纂 明治5年 巻38 本省公文 物品部6(防衛省防衛研究所)
[172]
간행물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海軍省)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A09054277400、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海軍省)(国立公文書館)(第36画像目から第37画像目まで)
[173]
간행물
少尉以下軍曹迄ノ黜陟ハ本省ニ於テ伝達シ其以下ハ所轄ノ艦船ニ於テ伝達セシム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32100、件名番号:043、太政類典・第二編・明治四年~明治十年・第二百十巻・兵制九・武官職制九
[17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76]
문서
「海軍中等士官曹長以下ノ禄制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77]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57100、件名番号:017
[178]
문서
「戊2号大日記 兵部省達 水勇新納淳一軍曹長任官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9]
문서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海軍省)」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0]
문서
「林卜庵外4名達 省内医局出勤申付等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1]
문서
「己2号大日記 水兵本部申出 軍曹桑波田十郎外1名昇級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2]
Wikiref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424100、件名番号:004
[183]
문서
「海軍武官官等改正ニ付曹長以下洋名ノ比較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84]
문서
「海軍武官及文官服制改定・八年十一月十二日第百六十八号ヲ以テ布告ス布告文並海軍省伺等ハ同部目ノ第二冊ニ載ス」
国立公文書館
[185]
서적
https://dl.ndl.go.jp[...]
[186]
문서
「海兵ヲ解隊シテ水夫ニ採用シ改テ水兵ト称ス」
国立公文書館
[187]
문서
「海軍文武官官等表中海兵部ヲ廃ス」
国立公文書館
[188]
웹사이트
「防衛庁設置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昭和55年法律第93号)
https://www.shugiin.[...]
1980-11-29
[189]
웹사이트
防衛大臣指示(「検討の柱」)に基づく具体的検討項目
https://warp.da.ndl.[...]
防衛省
2010-08-26
[190]
웹사이트
我が国の防衛と予算、平成23年度概算要求の概要
https://warp.da.ndl.[...]
防衛省
2010-08
[191]
간행물
警視庁消防手給与規則(大正2年6月13日内務省令第10号)
https://dl.ndl.go.jp[...]
日本マイクロ写真
1913-06-13
[192]
문서
「御署名原本・大正二年・勅令第百四十九号・警視庁官制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3]
간행물
消防手給与規則(大正7年3月30日内務省令第2号)
https://dl.ndl.go.jp[...]
日本マイクロ写真
1918-03-30
[194]
문서
「判任官待遇消防手服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5]
문서
대대주임원사, 연대주임원사, 여단주임원사, 사단주임원사 등이 대표적이다. 대한민국 육군본부에는 육군주임원사(소장급 의전)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에는 합참주임원사(중장급 의전)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